[프로야구] 야알못, 야린이를 위한 투수 투구 용어 정리(구속, 구위, 릴리스포인트, 익스텐션, 디셉션, 무브먼트, RPM, 스터프, 커맨드, 피칭 메카닉 등)
안녕하세요. 슬기토끼입니다.
"저 투수는 구속보다 구위가 더 좋네요."
"익스텐션이 길어서 체감 구속이 다르죠."
"디셉션이 있는 투구라 타자가 속네요. “
요즘 중계나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이런 말들, 뭔가 전문가 같지만 사실은 알고 보면 전혀 어렵지 않아요.
오늘은 투수의 투구 동작과 관련된 야구용어를 초보자도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드릴게요.
▷ 뜻:
투수가 던진 공의 속도, km/h 또는 mph 단위로 표시됩니다.
▷ 예시:
150km/h → 매우 빠른 직구
140km/h → 평균적인 프로 직구
120~130km/h → 커브나 체인지업 등 느린 구종
구속 = 절대적인 수치 → 구속이 빠를수록 타자 대응 시간 줄어들고 위력적!
하지만 구속이 빠르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에요.
뒤에 설명할 구위, 익스텐션 등과 함께 봐야 진짜 실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뜻:
공의 위력, 즉 타자를 이겨낼 수 있는 ‘질’의 강도
같은 145km/h여도 어떤 투수 공은 “더 빠르게 느껴지고 묵직하다”고 하죠?
→ 이게 바로 구위의 차이!
▷ 구위에 영향을 주는 요소:
- 공 끝 움직임 (무브먼트)
- 타자 앞에서 갑자기 가라앉거나 솟는 성질
- 공이 ‘튀는’ 느낌 → 타자가 중심 맞추기 어려움
- 요즘은 STUFF+라는 데이터 지표로 측정되기도 해요.
- 100이 평균이고, 120 이상이면 리그 상위권 구위!
▷ 뜻:
공을 손에서 놓는 위치 → 높이와 거리, 좌우 방향까지 모두 포함
▷ 왜 중요할까?
릴리스 포인트가 일정할수록 제구력이 안정됨
커브, 체인지업, 직구 모두 같은 위치에서 나와야 타자가 속음!
▷ 예시:
투수가 공을 자꾸 높은 데서 놓으면 → 변화구 위장 어려움
투수마다 릴리스 위치가 달라 → 타자가 혼란
릴리스 포인트는 투수 습관이 담긴 영역이라, 폼의 ‘지문’ 같은 존재예요.
▷ 뜻:
투수가 공을 손에서 놓을 때 타자에게 얼마나 가까이 다가가서 던지느냐
→ 릴리스 포인트부터 홈플레이트까지의 거리 중 ‘손에서 놓은 시점의 거리’를 측정
▷ 예시:
평균 익스텐션: 1.8~2.0m
팔이 긴 투수가 플러스가 됩니다.
몸을 끝까지 앞으로 뻗으면 → 타자 입장에선 훨씬 가까이서 던지는 느낌이 되죠.
▷ 효과:
같은 구속이라도 체감 속도는 훨씬 빠름
타자가 반응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듦 → 속는 느낌
MLB에서는 익스텐션 2.1m 이상이면 우수한 편으로 평가합니다.
▷ 뜻:
타자를 속이는 투구 동작 또는 리듬
디셉션이 좋은 투수는 공이 보이지 않다가 갑자기 튀어나오거나 폼이 일정해서 구종을 구분하기 어려움
▷ 어떤 유형이 디셉션이 좋을까?
팔 각도가 특이한 투수 (언더핸드, 사이드암)
숨기듯 던지는 투수 (공이 뒤늦게 보임)
직구·체인지업 구분이 안 되는 릴리스
예시: “공이 마지막 순간까지 안 보여서 타자 반응이 늦었네요.”
▷ 뜻:
- 공이 날아가는 중에 생기는 자연스러운 꺾임 또는 흔들림
- 직구도 위로 솟구치거나 옆으로 살짝 휘는 경우 있음
- 변화구는 의도적으로 무브먼트를 크게 줌
- 요즘엔 Horizontal/Vertical Movement(cm) 단위로 측정해 구종별 위력을 비교할 수 있어요.
▷ 뜻:
공이 1분 동안 도는 회전수
→ 스핀이 많을수록 변화가 심하거나 체감 구속이 올라감
직구: RPM이 많을수록 하강 덜 하고 뜨는 느낌
커브: RPM이 많을수록 갑자기 떨어지는 브레이크
▷ 예시 수치 (직구 기준):
-2000~2100: 보통
- 2300 이상: 위력 있음
- 2500+: 리그 상위급
- 요즘 MLB에서는 RPM도 직구 성능 평가의 필수 지표예요.
▷ 뜻:
- 투구의 구속, 회전, 무브먼트, 릴리스포인트, 익스텐션 등을 종합해 해당 투구가 얼마나 위력적인지를 수치로 계산한 것
- 평균 100, 120 이상이면 리그 최상위권 투수
- 미국 통계 사이트 FanGraphs 등에서 공개됨
▷ 뜻:
제구력보다 한 단계 위의 개념
→ 공을 던지고자 한 정확한 지점에 던질 수 있는 능력
단순 스트라이크 여부가 아니라, 스트라이크존 안의 원하는 구석에 던지는 능력
커맨드가 좋은 투수는 타자에게 “공을 고를 자유”를 주지 않아요.
▷ 뜻:
- 투구 동작 전체의 흐름과 기술적 완성도
- 하체 리듬, 팔 각도, 발 디딤, 회전력, 릴리스 포인트까지 포함
- 메카닉이 흔들리면 → 제구와 디셉션, 구속 모두 흔들림
- 코칭 스태프가 가장 신경 쓰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투수는 단지 공을 던지는 게 아니라,
하나의 구를 던지기 위해 팔, 다리, 몸의 리듬을 모두 계산해 내는 ‘과학자’입니다.
이제부터 중계를 보다가
“저 투수 디셉션 좋네”, “릴리스 일정하다”, “RPM 높아서 공이 튄다”는 말을 들으면 ‘아는 만큼 더 보이는 야구’를 즐길 수 있게 될 거예요.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