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야알못, 야린이를 위한 야구 심판 용어 정리(스트라이크, 볼, 낫아웃, 페어, 파울, 세이프, 아웃, 체크스윙, 인필드 플라이, 타임, 볼데드, 비디오판독 등)
안녕하세요. 슬기토끼입니다.
이번엔 야구의 심판 관련 용어들을 정리해드리려고 합니다.
심판은 야구의 숨은 진행자이자 판결자예요. 모든 결정은 심판의 손에 달려 있죠.
그런데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볼카운트”, “스윙 판정”, “페어냐 파울이냐” 등 심판이 내리는 여러 판정 용어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그래서 오늘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심판이 경기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어떤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지 예시와 함께 풍성하고 재미있게 풀어드릴게요.
▷ 뜻:
타자가 치지 못한 공이 스트라이크존을 통과하거나,
타자가 휘둘렀지만 헛스윙한 경우,
또는 파울볼(2스트라이크 이하)일 때 선언되는 판정.
▷ 예시:
공이 무릎~가슴 높이로 홈플레이트 위를 지나면 → 스트라이크-
타자가 휘둘렀지만 헛쳤다 → 스트라이크
스트라이크 3개 → 삼진 아웃
▷ 뜻:
공이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났고, 타자가 휘두르지도 않았을 때
▷ 예시:
- 몸 쪽으로 치우쳐 들어오는 공
- 높이 너무 낮거나 높은 공 → 타자가 치지 않으면 볼
- 볼 4개 누적 → 볼넷 (1루 자동 진루)
▷ 뜻:
삼진 판정을 받았지만, 포수가 공을 놓쳐서 아웃이 성립되지 않는 상황
타자는 1루까지 뛸 수 있고, 1루가 비어있거나 아웃 카운트 2개 이하이면 세이프 가능!
▷ 예시:
삼진인데 포수가 바운드 처리 → 타자 1루로 달림
→ 포수가 던져 아웃시키지 못하면 타자는 세이프!
▷ 뜻:
타구가 플레이 가능한 구역(페어 지역)에 떨어졌는지, 아니면 경기 외 구역(파울 지역)에 갔는지 판단하는 것
▷ 기준:
1,3루 베이스 기준: 베이스 위를 지났거나 라인 안쪽 → 페어
라인 바깥쪽 또는 바운드 후 라인 밖으로 → 파울
▷ 예시:
타구가 3루 라인 살짝 위 → 페어
타구가 펜스 바깥으로 날아갔지만 라인 안 → 홈런(페어)
▷ 뜻:
주자 또는 타자가 기준 루에 도달했는가, 또는 수비보다 빨랐는가에 따라 선언되는 심판 판정
-세이프(Safe): 타자 또는 주자가 살아 있음
-아웃(Out): 루에 도달하기 전에 수비가 처리
▷ 예시:
- 1루 도착 전 수비가 공으로 먼저 터치 → 아웃
- 슬라이딩으로 손이 먼저 닿았다 → 세이프
- 심판의 제스처도 중요! 팔을 좌우로 크게 휘두르면 세이프, 팔을 앞으로 ‘착!’ 치면 아웃.
▷ 뜻:
타자의 무릎~가슴 사이, 홈플레이트를 덮는 가상의 입체 공간
현재 KBO에서는 ABS로 스트라이크와 볼 판정을 합니다.
▷ 뜻:
타자가 스윙하려다 멈췄을 때, 실제로 휘둘렀는지 아닌지를 판정
휘두르면 → 스트라이크
멈추면 → 볼
▷ 예시:
- 배트가 홈플레이트 앞으로 지나갔다 → 스트라이크
- 타자가 멈춘 듯 보이면 → 볼
- 포수나 투수 요청으로 1루/3루심 판정 요청 가능
스트라이크 존, 체크스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여기 클릭
[프로 야구] 2025 KB0 프로야구 바뀐 규정(ABS, 피치클락, 3피트, 체크스윙 판독까지, 바뀐 규정 완벽
안녕하세요. 슬기토끼입니다.2025 KBO 프로야구가 3월 22일(토) 드디어 개막하였습니다. 새로운 시즌을 기다려온 팬들에게는 매 경기마다 흥미로운 순간들이 준비되어 있을 텐데요. 특히 올해는 ABS
edulog1004.tistory.com
▷ 뜻:
- 공격 쪽이 수비를 방해한 경우
- 타자가 포수의 송구를 방해하거나
- 주자가 수비수와 충돌했을 때 등
▷ 예시:
- 타자가 스윙 도중 포수의 글러브와 접촉 → 포수 인터피어런스 → 타자 출루
- 주자가 수비 중인 유격수를 방해 → 주자 아웃
▷ 뜻:
수비수가 주자의 주루를 방해한 경우
공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수비 동작 중이 아닌데 주로를 막으면 → 오브스트럭션
▷ 예시:
1루수 발이 베이스를 가로막아 주자가 달리지 못했다 → 심판 선언 후 주자 진루 보상
종종 인터피어런스와 혼동되지만, 수비가 방해했는지 공격이 방해했는지에 따라 구분
▷ 뜻:
무사 또는 1사, 주자 1·2루 또는 만루 상황에서 내야에 쉽게 뜬 공이 나왔을 때 → 심판이 자동 아웃을 선언
▷ 왜 필요할까?
일부러 공을 떨어뜨려 병살을 유도하는 비신사적 플레이 방지 목적
▷ 예시:
무사 1·2루, 유격수 쪽 팝플라이 → 심판 “인필드 플라이!” 외치고 타자 아웃 처리
주자들은 여전히 움직일 수 있어요 (단, 리스크 큼)
▷ 타임(Time):
심판이 경기를 잠시 멈추는 신호
타자 정비, 작전 지시, 부상 등 다양한 이유
▷ 볼데드( Ball Dead):
경기 중 공이 죽은 상태
예: 몸에 맞은 공, 관중석에 들어간 공, 플레이가 끝난 뒤 등
타임과 데드볼은 경기 진행 흐름을 통제하는 심판의 중요한 도구!
▷ 뜻:
- 심판 판정에 대해 비디오를 통해 재검토하는 제도
- 감독이 챌린지 요청 가능 명
- 명백한 오심 여부를 따짐
- KBO/MLB 모두 도입
- 2회 요청 가능
야구는 선수들만의 경기가 아닙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경기의 질서를 세우는 심판의 판정이야말로, 모든 경기를 공정하고 정밀하게 만드는 중심축이에요.
오늘 정리한 심판 용어만 알고 있어도, 야구를 보며 “왜 저게 스트라이크야?”, “저건 왜 주자가 나갔지?” 하는 궁금증이 훨씬 줄어들 거예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