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프로야구] 야알못, 야린이를 위한 야구 수비 용어 정리(실책, 수비율, 보살, 풋아웃, 병살, 포스아웃, 태그아웃, 수비 쉬프트 등)

슬기로운 스포츠

by 슬기토끼 2025. 5. 12. 08:00

본문

야구 수비 용어:  보이지 않는 9명의 수비수, 그들의 숨은 기록들

 

안녕하세요. 슬기토끼입니다.

야구는 공격의 스포츠처럼 보이지만, 사실 수비야말로 승패를 바꾸는 진짜 변수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실책', '수비율', '보살', '병살'… 말은 많이 들어봤지만 정확한 의미는 잘 모를 수 있어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수비 성적 관련 용어를 하나하나 풀어서, 야구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풍부하고 재미있게 정리해 드릴게요.

 

 

 

 

 

1. 실책 (E: Error)

▷ 뜻:

수비수가 기본적인 플레이를 실수해서 주자의 진루나 타자의 생존을 허용한 경우 즉, 막을 수 있었던 플레이를 못 막은 것이에요.

 

▷ 예시:

땅볼을 잡다가 공을 놓쳐서 타자가 1루에 살아남았다면 → 실책 1개

송구가 크게 빗나가 주자가 추가 진루했다면 → 실책

단, 어려운 수비 미스나 빠른 타구는 실책으로 기록되지 않아요.

 

 

 

 

 

2. 수비율 (FPCT: Fielding Percentage)

▷ 뜻:

수비수가 얼마나 실수 없이 플레이했는지를 수치로 보여주는 지표

 

공식:

(수비 기회 – 실책) ÷ 수비 기회

수비 기회 = 보살 + 포구 + 실책

 

▷ 예시:

100번 수비 기회 중 실책 2번 → 수비율 = (100 – 2) ÷ 100 = .980

.990 이상이면 수비가 매우 안정적인 선수로 평가돼요.

 

참고: 어려운 플레이를 시도하다 실책 하면 수비율은 낮아질 수 있음.

 

 

 

 

 

3. 보살 (A: Assist)

▷ 뜻:

수비수가 다른 수비수의 아웃 플레이에 도움을 준 경우

 

▷ 예시:

유격수가 땅볼을 잡아 2루로 던짐 → 2루수가 주자를 아웃시킴 → 유격수 보살 1

외야수가 홈으로 정확히 송구해 포수가 아웃시켰다면 → 외야수 보살 1

외야수의 보살은 강한 어깨의 상징으로 여겨져요!

 

 

 

 

 

4. 풋아웃 (PO: Putout)

▷ 뜻:

수비수가 직접 아웃을 시킨 경우

포수, 1루수, 외야수 등이 자주 기록합니다.

 

▷ 예시:

포수가 삼진을 잡은 후 바로 포구 → 풋아웃

1루수가 땅볼을 직접 밟고 아웃 → 풋아웃

외야수가 뜬 공을 잡아 타자를 아웃 → 풋아웃

 

 

 

 

 

5. 병살 (DP: Double Play)

▷ 뜻:

한 타구로 2명의 주자를 동시에 아웃시키는 플레이

병살은 수비가 조직적으로 움직여야 가능하므로 팀워크의 상징이에요.

 

▷ 예시:

1루 주자 상황, 유격수가 땅볼 잡아 → 2루 → 1루로 송구 → 2명 아웃 → 병살

"6-4-3 병살"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수비수 번호(유격수-2루수-1루수)를 의미해요.

 

 

 

 

 

6. 삼중살 (TP: Triple Play)

▷ 뜻:

한 번의 수비로 3명의 주자를 동시에 아웃시키는 드문 장면

삼중살은 정말 보기 드문 장면으로, 한 시즌 전체에서 1~2번밖에 나오지 않기도 해요.

 

▷ 예시:

무사 1,2루 상황에서 타구를 직선타로 잡고 → 2루 → 1루로 송구 → 3명 연속 아웃

삼성라이온즈와 엘지 트윈스 경기중 삼중살 장면(2019. 8.4. 유강남 선수의 3중살/ 출처: 연합뉴스)
삼성라이온즈와 엘지 트윈스 경기중 삼중살 장면(2019. 8.4. 유강남 선수의 3중살/ 출처: 연합뉴스)

 

 

 

 

 

7. 어시스트 수비 (Relay)

▷ 뜻:

외야수가 잡은 공을 내야 중계 수비수에게 넘겨서 아웃시키는 플레이

릴레이 플레이라고도 불리며, 주자의 추가 진루를 막는 핵심 기술

 

▷ 예시:

좌익수가 2루타 타구 잡고 → 유격수에게 → 유격수가 홈으로 송구해 주자 아웃

릴레이는 야구의 ‘패스 게임’이라고 볼 수 있어요.

 

 

 

 

 

8. 포스 아웃 (Force Out)

▷ 뜻:

주자가 어쩔 수 없이 다음 루로 달려야 하는 상황에서, 그 루를 수비수가 먼저 점령해 아웃시키는 방식

주로 땅볼 상황에서 나옵니다.

 

▷ 예시:

주자 1루 상황, 타자 땅볼 → 수비가 2루에 먼저 던짐 → 1루 주자 아웃 → 포스 아웃

루를 반드시 밟아야만 주자를 아웃시킬 수 있어요!

 

 

 

 

 

9. 태그 아웃 (Tag Out)

▷ 뜻:

주자가 강제 상황 없이 움직일 때, 수비수가 글러브나 손에 공을 갖고 직접 터치해서 아웃시키는 것

 

▷ 예시:

3루 주자가 홈으로 달릴 때, 포수가 손에 공을 갖고 터치 → 태그 아웃

슬라이딩 도중 외야수가 정확히 태그 → 태그 아웃

태그 플레이는 순간적인 정확도와 판단력이 필요해요.

 

 

 

 

 

10. 수비 위치 번호 (Fielding Positions)

야구 수비는 9명이고, 각 포지션은 고유의 번호로 구분됩니다.

보통 기록에서 ‘4-6-3 병살’처럼 번호가 자주 등장해요.

 

야구 수비 위치 번호
야구 수비 위치 번호

 

 

 

 

 

11. 수비 포지션 변화 (Shift)

▷ 뜻:

특정 타자의 성향에 따라 수비수를 비정상적인 위치로 옮기는 전략적 수비 배치

극단적인 시프트는 규제가 생기기도 했어요.

 

▷ 예시:

좌타자가 땅볼 잘 치면 → 3루수도 1루 쪽으로 이동 → 2루가 비지만 타구 유도를 기대

MLB는 2023년, KBO는 2024년부터 시프트를 제한하는 규칙을 도입

(KBO규정: 투수가 투구를 하기 전까지 2루를 중심으로 양쪽에 2명씩의 내야수가 배치돼 있어야 하고,

내야수가 외야 잔디에 있어서도 안된다. 한마디로 한쪽으로 몰빵 금지규정입니다 ㅎㅎ)

 

 

 

 

마무리하며

야구에서 수비는 단순히 “공을 잡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타이밍, 순발력, 정확도, 팀워크가 어우러져야 만들어지는 아름다운 움직임이죠.

오늘 알려드린 수비 용어를 이해하고 나면, 이제는 땅볼 처리나 더블플레이 장면을 보며 “와 저건 6-4-3 병살이네!” 하고 감탄할 수 있게 될 거예요.

감사합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