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프로야구] 야알못, 야린이를 위한 야구 장비 용어 정리(배트, 글러브, 공, 헬멧, 유니폼, 언더셔츠, 배팅장갑, 레그가드, 엘보가드, 포수 장비, 로진백, 타르, 더그아웃, 불펜 등)

슬기로운 스포츠

by 슬기토끼 2025. 5. 15. 14:00

본문

야구 장비 용어 완전 정복 - 장비를 알아야 야구가 보인다! 

 

안녕하세요. 슬기토끼입니다.

이번엔 야구의 ‘기초 장비’에 해당하는 야구 용품 용어를 다뤄볼게요.

야구는 장비 없이는 단 1초도 시작할 수 없는 스포츠예요.

배트, 글러브, 포수 마스크, 슬라이딩 장갑, 레그가드…

이름은 들어봤지만, 각각이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잘 모를 수 있죠.

그래서 오늘은 야구를 처음 접하는 사람도 장비만 보면 어떤 역할인지 감이 올 수 있도록 야구 용품 하나하나의 이름과 기능, 재미있는 특징까지 담아 설명해 드릴게요.

 

 

 

 

 

1. 배트 (Bat)

▷ 뜻:

타자가 공을 치기 위해 사용하는 막대기 형태의 장비

소재와 길이, 무게가 규정 내에서 다르게 제작됨

 

▷ 종류:

- 목재 배트: 프로야구 주로 사용 (MLB, KBO 규정상 의무)

- 알루미늄 배트: 아마추어, 고교 야구에서 많이 사용. 가볍고 반발력 좋음

 

▷ 소재 특징:

목재는 애쉬(물푸레나무), 메이플(단풍나무) 등이 대표

반발력은 알루미늄이 더 뛰어나지만, 목재는 균형감과 타구 감각이 더 섬세

규정 길이: MLB 기준 최대 42인치(약 106cm), 무게 제한 없음

 

 

 

 

 

2. 글러브 (Glove)

▷ 뜻:

수비수가 공을 포구하기 위해 손에 끼는 장비

포지션별로 모양과 구조가 다름

 

▷ 포지션별 종류:

- 1루수 미트: 넓은 면, 손가락 구분 없음. 땅볼 포구 최적화

- 포수 미트: 동그란 형태, 두꺼운 패딩 → 150km/h 공도 견딤

- 내야수 글러브: 작고 가볍고, 빠른 송구에 최적

- 외야수 글러브: 크고 깊은 포켓 → 뜬 공 안정적으로 잡기

- 투수 글러브: 손가락 구분 있으나 공 숨기는 용도로 심플한 디자인

 

모든 선수는 자기 글러브가 있음. 팀 전체가 공유하지 않아요!

 

 

 

 

 

3. 공 (Ball)

▷ 뜻:

경기에서 투수가 던지고, 타자가 치는 중심 장비

내부 코르크 + 실가죽 겉면 + 실밥 스티칭 구조

 

▷ 특징:

- 무게: 약 145g 내외

- 둘레: 약 23cm

- 겉면은 대부분 소가죽, 실밥은 붉은색이 표준

- 실밥 돌기로 인해 투구에 다양한 회전과 변화구 연출 가능!

 

 

 

 

4. 헬멧 (Helmet)

▷ 뜻:

타자와 주자가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호 장비

타석에서 공에 맞는 사고 방지 슬라이딩 중 충돌 예방

 

▷ 특징:

좌타/우타 방향에 따라 귀 덮개 방향 다름

최근엔 페이스가드 포함 헬멧도 늘어남

프로 선수들도 두부 손상 방지를 위해 규정 착용

 

 

 

 

 

5. 유니폼 (Uniform)

▷ 뜻:

선수들의 팀 소속을 나타내며, 기능성과 활동성을 고려해 제작된 스포츠 의류

 

▷ 구성:

- 상의(저지)

- 하의(팬츠) 등

- 번호와 이름이 필수 표기

- 여름엔 통풍 소재, 겨울엔 보온 기능 추가

- 유니폼은 팀 고유 디자인. 원정 유니폼과 홈 유니폼 색상도 다릅니다.

 

 

 

 

 

6. 언더셔츠 / 슬리브 / 양말

▷ 뜻:

운동 시 체온 유지, 땀 흡수, 근육 지지 역할을 하는 의류 부속품

 

-언더셔츠: 유니폼 안에 입는 기능성 이너

-슬리브: 팔에 착용, 팔꿈치 보호와 피로 감소 목적

-양말: 팀 컬러 강조 + 발목 보호


특히 언더셔츠 색상은 팀에 따라 통일성 유지 필요

 

 

 

 

 

7. 배팅 장갑 (Batting Gloves)

▷ 뜻:

타격할 때 배트를 더 단단히 잡기 위해 착용하는 장갑

그립감과 충격 흡수, 땀 방지 역할

 

▷ 특징:

- 손바닥에는 미끄럼 방지 고무 소재

- 겉면은 통기성 또는 가죽 혼합

- 프로 선수 대부분 착용.

- 아주 간혹 일부 선수는 맨손 타격을 하기도 함

삼성 라이온즈 시절 박석민 선수의 맨손 타법(출처: 매일신문)
삼성 라이온즈 시절 박석민 선수의 맨손 타법(출처: 매일신문)

 

 

 

 

 

8. 슬라이딩 장갑 / 레그가드 / 엘보가드

▷ 뜻:

주루, 타격 시 몸을 보호하기 위한 장비

 

- 슬라이딩 장갑:

슬라이딩 시 손가락 골절 방지용 장갑

손가락 길이 이상으로 설계되어 충격 분산

 

- 레그가드:

타격 시 정강이 보호 (직구 파울 타구에 대비)

대부분 타석 오른쪽 다리에 착용 (우타자 기준)

 

- 엘보가드:

팔꿈치 보호대 투수가 던진 공에 맞아도 부상 최소화

KBO, MLB 모두 안전장비 착용 권장 (규정은 자율)

슬라이딩 장갑을 착용한 기아 타이거즈 박찬호 선수(출처: 연합뉴스)

 

 

 

 

 

9. 포수 장비 (Catcher’s Gear)

▷ 구성:

- 포수 마스크: 얼굴 전체 보호

- 체스트 프로텍터: 가슴 보호대

- 레그가드: 무릎~정강이 보호

- 포수 미트: 두꺼운 전용 글러브

 

포수는 야구에서 가장 많은 공을 몸으로 받는 포지션이기 때문에 장비 착용 없이 경기에 나서는 건 불가능!

포수는 경기 중 유일하게 풀세트 보호 장비 착용

 

 

 

 

 

10. 로진백 / 타르 / 방망이 손질 용품

▷ 로진백 (Rosin Bag):

투수 마운드 옆에 두는 분말 가루

주머니 손의 땀 제거, 그립 향상 → 미끄럼 방지

 

▷ 타르(파인 타르, Pine Tar):

타자가 배트 손잡이에 바르는 끈적한 수지

배트 미끄러짐 방지

MLB에서는 타르가 배트 중간 이상 올라오면 반칙

 

 

 

 

 

11. 더그아웃 (Dugout) & 불펜 (Bullpen)

▷ 더그아웃:

경기 중 출전 대기, 작전 지시, 교체 준비 등 팀의 ‘지휘 본부’ 역할

벤치 클리어링도 여기서 시작됨

 

▷ 불펜:

- 불펜 투수진이 몸을 푸는 공간 간계투,

- 마무리 투수들이 대기

- 대형 구장에서 외야 펜스 근처에 위치함

 

 

 

 

 

마무리하며

야구는 ‘도구의 예술’이라 불릴 만큼 장비와 함께 발전해 온 스포츠예요.

장비를 잘 이해하면, 포수가 왜 저 장비를 입는지, 왜 어떤 타자는 레그가드를 차고, 어떤 선수는 맨손 타격을 하는지 보는 눈이 완전히 달라질 거예요.

이제 야구장을 방문하면, 선수의 글러브 크기나 배트 재질만 봐도 “아! 저건 외야수 글러브네!” 하고 말할 수 있겠죠?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