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은 2025년 3월 31일(월), 정확하고 편리하며 수수료 부담이 없는 종합소득세 환급 서비스 ‘원클릭’을 개통하였습니다. 원클릭 서비스는 최대 5년 동안의 환급금액을 한 번에 보여주고, 이를 클릭 한 번으로 환급할 수 있도록 한 혁신적인 서비스입니다.
납세자가 원클릭 서비스에서 안내한 금액을 수정 없이 그대로 신고하였다면 환급 검토기간을 대폭 줄여, 1개월 이내에 그대로 지급할 계획입니다. 만약 납세자가 금액을 수정하여 신고하더라도 종합소득세 환급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여, 최대 2-3개월 안에 빠르게 지급할 예정입니다.
나에게 환급금이 있는지 핸드폰이나 pc로 홈택스에 접속하면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홈택스 첫 화면-> 원클릭 환급 신고 버튼 클릭-> 간편 인증 등으로 로그인-> 환급 금액 안내 (카카오톡 등으로 간편하게 인증가능)
이것을 클릭하고 들어가면 인증서 로그인 페이지가 나옵니다. (카카오톡 등으로 간편 인증을 하면 편리합니다.)
카카오톡으로 들어가서 간편 인증을 접속하였습니다.
카카오톡 지갑에서 인증요청을 눌러주면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완료됩니다.
로그인을 해서 종합소득세 원클릭 환급신고 접속을 하면 내 실명과 함께 곧바로 환급금이 나옵니다. (환급금이 이상 없는지 확인합니다.)
저는 환급대상이 아니어서 이렇게 나왔습니다.ㅠㅠ
참고) 모바일에서 볼 수 있는 환급금 확인 순서입니다.
(수정사항이 없을시) 국세청이 계산해 준 환급 금액을 확인한 후, 이대로 신고하기 버튼을 눌러 신청합니다.
(수정사항이 있을시) 상세 보기에서 ‘신고화면 이동 버튼’을 클릭해서 신고내용을 수정하여 신고합니다.
납세자는 소득금액과 공제내역을 확인 후 수정이 가능하며, 공제항목 추가도 할 수 있습니다.
신고 내용이 수정되면 환급세액도 자동으로 수정 계산됩니다.
*환급 대상자에게는 국세청 인증마크가 있는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개별 안내해 줍니다.
그동안 삼쩜삼, 세이브잇(토스인컴), 비즈넷 등과 같은 민간 서비스 이용시, 환급 금액의 10~20%를 수수료로 지급하여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국세청의 원클릭 서비스는 수수료가 전혀 없는 무료입니다.
또한 가족관계증명서 등 추가적인 개인정보 수집도 필요 없습니다. (이미 국세청이 보유한 자료만으로 신청 안내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국세청 발표에 따르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양한 공제요건 검토와 환급세액을 계산이 이루어져 과다환급에 따른 가산세 위험이 전혀 없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신고분과 2025년 신고분의 환급신청방법을 비교해서 안내드립니다.
20~24년 신고분(19~23년 귀속)은 3월 31일부터 원클릭 서비스를 이용해서 환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2. 25년 신고분(24년 귀속) 은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서비스를 이용해서 환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국세청이 간만에 납세자들의 가려움을 해결해 주는 멋진 정책을 시행한 것 같습니다. 환급 절차가 어렵다고 느껴서 그동안 놓치고 있던 분들은, 이번 기회에 원클릭 환급 서비스로 간편하게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앞으로 더 많은 제도적 개선을 통해, 납세자 중심의 편리한 세정 서비스가 자리 잡길 기대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원금균등상환 vs 원리금균등상환의 특징과 장단점 총정리(계산기 사용)
목차1. 원금균등상환과 원리금균등상환이란?2. 주요 특징과 장단점3. 상환 방식별 이자·원금 비율 비교(그래프)4. 실제 예시: 1억 원, 연이율 3%, 10년(월 상환) 기준 비교5. 일상생활에서의 적용 사
edulog1004.tistory.com
알쏭달쏭 헷갈렸던 중도상환수수료, 의미부터 사례별 계산방법까지 완벽 가이드! (계산기 안내)
목차1. 중도상환수수료란?2. 중도상환수수료가 생기는 이유3. 중도상환수수료, 어떻게 계산할까?4. 실제 계산 예시로 살펴보기5. 국내 은행별 중도상환수수료 비교6. 2025년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edulog1004.tistory.com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당신의 선택은?(고정금리와 변동금리에 대한 특별한 가이드)
목차1.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란? 2.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장단점 3. 두 금리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4. 현재 대한민국 은행별 주요 고정금리·변동금리 이율 5.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는 언
edulog1004.tistory.com
관세란 무엇인가요? 다시 시작된 관세 전쟁, 트럼프와 함께 돌아온 뜨거운 경제 이슈
목차1. 다시 부상한 트럼프의 관세 정책: 2025년의 이슈2. 관세란 무엇인가?-쉽고 간단한 개념 정리3. '관세전쟁' 다시 부각: 2025년 글로벌 무역 지형도4. 관세가 우리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5. 관세
edulog1004.tistory.com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당신의 선택은?(고정금리와 변동금리에 대한 특별한 가이드) (73) | 2025.03.28 |
---|---|
알쏭달쏭 헷갈렸던 중도상환수수료, 의미부터 사례별 계산방법까지 완벽 가이드! (계산기 안내) (78) | 2025.03.27 |
관세란 무엇인가요? 다시 시작된 관세 전쟁, 트럼프와 함께 돌아온 뜨거운 경제 이슈 (66) | 2025.03.23 |
원금균등상환 vs 원리금균등상환의 특징과 장단점 총정리(계산기 사용) (41)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