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과학 이야기] 도시에서 발견된 거대광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금보다 많다고요?

슬기로운 교육

by 슬기토끼 2025. 2. 12. 23:05

본문

반응형

 

<알림>

도시에서 엄청난 거대광산을 찾았어요.

전 세계 금의 16.4%!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매장된 금보다 보더 많은 양이에요.

이 금을 찾고 싶은 사람은 바로 연락주세요.

더 이상 땅을 파서 힘들게 금을 찾을 필요가 없습니다.

 

사람들이 이 글을 본다면 어떻게 할까요? 아마 당장 찾아가겠죠? 
이곳이 어디인지 우리도 함께 가 볼까요?

 

 

1. 도시광산이 있다고요?

이곳은 바로 도시광산(Urban Mining)이에요. 
우리는 잘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등 오래된 전자기기를 집 어딘가에 방치할 때가 많아요. 기술이 발전하고 새로운 기기가 끊임없이 개발되며, 구형 제품들은 자연스럽게 잊히는 거죠. 
하지만 이 버려진 제품들엔 많은 자원이 숨겨져 있어요. 대표적으로 금이나 은같은 귀금속이나 코발트, 리튬, 팔라듐과 같은 희귀 금속이 있죠. 이것을 바로 도시광산(Urban Mining)이라고 해요. 버려진 전자제품 속에 있는 자원들을 재활용하자는 것이죠. 상상한 것 이상의 막대한 자원을 도시광산에서 얻을 수 있답니다.

 

 

 

2. 쉽게 버려지는 보물들

전자제품속 금속 함량을 살펴보면 놀랍습니다. 보통 금을 얻기 위해서는 광산에서 막대한 암석을 힘들게 캐내야 해요. 하지만 폐전자기기에서 훨씬 높은 농도의 금을 쉽게 얻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1톤의 폐스마트폰에서 약 300g의 금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같은 무게의 금광석에서 추출하는 양(5g)보다 무려 60배나 많은 양을 얻을 수 있는 것이죠. 
이뿐 아니라 버려지는 배터리나 전자회로 기판 등에는 코발트, 리튬 같은 희귀 금속도 많이 들어 있어요. 이렇게 자원을 재활용하는 것이 광산의 땅을 힘들게 파며 자연을 훼손하는 것보다 훨씬 경제적이고, 환경보호에도 큰 도움이 되는 것이죠.

 

 

 

3. 도시광산은 무엇이 좋은가요?

도시 광산이라는 개념은 말 그대로 도시에 있는 광산에서 금속을 캐낸다는 말이에요. 땅속에서 원석을 채굴하여 금속을 추출하는 대신, 버려진 전자기기에 있는 금속을 회수하고 이를 다시 사용하는 방식인 것이죠. 획기적인 자원 재활용 개념인 것입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말할 것도 없이 경제적 가치를 높이면서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광산을 개발한다면 환경의 파괴가 필수적으로 따라와요. 또한 사람들의 노동 등 많은 에너지가 소모될 것입니다. 

전통적인 광산의 모습
전통적인 광산의 모습


하지만 도시광산은 버려진 자원을 재활용하는 것만으로 금속을 확보할 수 있어요. 전 세계적으로 희귀 금속의 수요가 늘어나고 자원전쟁이 한창인 이때 도시광산이 안정적인 공급처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죠.

 

 

 

4. 도시광산 이용사례

도시광산을 잘 활용하는 나라 중 하나가 바로 이웃나라 일본입니다. 일본은 버려진 전자제품을 수거하고 체계적으로 재활용하는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어요. 이를 통해 폐전자제품에서 엄청난 양의 금속을 얻고 있죠. 
실제로 일본은 2020년 열린 도쿄 올림픽에서 도시광산에서 추출한 금속으로 올림픽 메달을 제작했어요. 이는 세계적으로 큰 화제가 되었는데 도시광산을 통해 경제적 가치도 창출하고, 환경 보호에도 기여하는 좋은 예를 보여준 거죠.

폐가전에서 금속을 추출해 만든 2020 도쿄올림픽 메달
폐가전에서 금속을 추출해 만든 2020 도쿄올림픽 메달

 

 

 

5. 도시광산의 경제적 가치

도시광산은 우리에게 줄 경제적 가치는 생각보다 대단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금이 많이 묻혀 있다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금 매장량보다 일본 폐가전제품 속 금의 양이 많다는 연구 결과도 있을 정도이지요. 
도시광산을 이용해 금, 은, 희귀 금속을 추출하면 광산을 직접 개발하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에요. 또한 환경오염을 막는 안정적인 자원 공급망도 갖게 되는 것이죠. 이처럼 도시광산은 경제적 이익과 환경 보호,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정말 효과적인 방법인 것입니다.  

 

 

 

6. 마무리하며

매년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많은 전자제품들, 이제는 소중한 자원으로 인식해야 해요.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전자제품이 없도록 올바르게 폐가전제품을 배출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하지요. 또한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은 그냥 버리지 말고, 공식 재활용 센터나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면 좋겠습니다.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이끌어 냅니다. 지금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폰, 오래된 노트북이 있다면, 그냥 버리지 말고 재활용하는 방법을 꼭 찾아보세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