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야구 초보가 헷갈리는 보크(Balk) 규칙 - 주자가 그냥 진루했다고요? 그건 ‘보크’ 때문입니다!
슬기로운 스포츠

[프로야구] 야구 초보가 헷갈리는 보크(Balk) 규칙 - 주자가 그냥 진루했다고요? 그건 ‘보크’ 때문입니다!

슬기토끼 2025. 5. 28.
728x90

야구 중계를 보다가 이런 장면을 보셨나요?

투수가 갑자기 멈췄는데,

심판이 손을 들어 “보크!”

주자들이 아무런 타격도 없이 진루?!

“어? 아무 일도 없었는데 왜 진루해요?”

“보크가 뭐예요? 뭘 잘못한 거죠?”

이것이 바로 많은 야구 초보자들이 헷갈리는 순간입니다.

오늘은 ‘보크’라는 투수 반칙 규칙을 정말 쉽게!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보크(Balk)란?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투수가 규칙에 어긋나는 동작을 하여

주자를 고의로 속이려 한 경우에 선언되는 반칙입니다.

보크가 선언되면, 모든 주자는 자동으로 1루씩 진루! (타자에게는 영향 없음)

보크는 주자의 도루나 작전을 막기 위한 비신사적인 행위 방지용 룰이에요.

 

 

 

 

 

보크가 선언되는 대표적인 5가지 상황

① 세트 포지션에서 ‘완전히 멈추지 않고’ 투구

투수는 세트 자세에서 1초 이상 정지해야 해요.

흔히 말하는 “노 스톱(No Stop)” 보크

예시: 투수가 세트 자세 후 어깨만 살짝 들썩이며 바로 던짐 → 보크!

 

 

② 투구하겠다고 하다가 ‘견제 또는 중단’함

피칭 동작이 시작된 후에는 투구 외의 동작은 금지

예시: 투수가 투구 동작을 하다 말고 1루로 던지려다 멈춤 → 보크!

 

 

③ 1루 견제를 하려는 척하다 안 던짐

베이스로 실제 던지지 않을 거면서 동작만 한 경우

→ 주자를 속이려는 행동으로 간주

예시: 1루 쪽으로 고개와 발을 살짝 돌렸다가, 공 던지지 않고 멈춤 → 보크!

 

 

④ 3루 견제 후 1루로 ‘빠르게 돌려 던지기’

이건 ‘투수의 트릭’으로 불리는 대표적인 고의 보크 시도입니다.

3루 주자를 유인하기 위해, 먼저 3루에 시선 돌리고 1루로 빠르게 견제하면 → 보크!

📌 투수는 한 번에 한 베이스만 정직하게 겨냥해야 합니다.

 

 

⑤ 마운드 밖에서 견제 시도

투수가 러버(마운드 위 고무판)에서 발을 떼지 않은 채 견제 동작을 하면 무조건 보크

예시: 투수가 마운드 위에서 바로 2루 쪽으로 공만 던짐 → 보크!

메이저리그에서 투수가 한 타자에게 보크를 3번이나 범한 상황이 발생하였다.1900년 이후 최초의 사례인데 당사자는 마이애미 투수 블라이어이다.(출처: AP,연합뉴스)
메이저리그에서 투수가 한 타자에게 보크를 3번이나 범한 상황이 발생하였다.1900년 이후 최초의 사례인데 당사자는 마이애미 투수 블라이어이다.(출처: AP,연합뉴스)

 

보크에 항의하는 블라이어(USA 투데이, 로이터, 연합뉴스)
보크에 항의하는 블라이어(USA 투데이, 로이터, 연합뉴스)

 

 

 

 

 

실제 경기 상황 예시

  • 투수가 던질 듯하다가 다시 멈춤: 주자 2루 진루 (보크선언)
  • 투수 어깨가 살짝 들썩이며 투구: 스트라이크지만 (보크선언)
  • 견제 자세에서 머뭇거리다가 포수에게 던짐: 보크 아님, 그대로 플레이 진행
  • 마운드에서 발 안 뗀 채 1루 견제: 주자 2루 진루 (보크선언)

 

 

 

 

 

왜 이런 규칙이 필요한가요?

야구는 ‘속임수’도 작전이지만, 투수는 공정한 동작으로만 승부해야 합니다.

예전엔 투수들이

“던질 듯 말 듯한 동작”

“베이스 두 방향 동시에 견제”

“중간에 멈췄다가 투구”

같은 식으로 주자를 속이고 혼란스럽게 만들려는 행위가 많았어요.

그래서 보크라는 룰로 이를 차단한 것입니다.

→ 정직한 승부를 위한 장치!

 

 

 

 

 

초보자를 위한 Q&A

Q1. 주자가 없을 때도 보크가 있나요?

🅰  없습니다! 보크는 주자가 있을 때만 선언됩니다.

 

Q2. 보크가 선언되면 투수 실점이 되나요?

🅰 아니요. 보크로 인해 실점했더라도, 그 점수는 자책점에 포함됩니다.

단, 보크 그 자체는 기록되지 않아요.

 

Q3. 왜 보크인데 바로 심판이 부르지 않아요?

🅰 상황에 따라 심판은 조금 늦게 선언하기도 합니다.

특히 공 던진 후 주자 움직임을 본 뒤 선언하는 경우도 있어요.

 

Q4. 보크로 인해 끝내기 점수도 날 수 있나요?

🅰 네! 동점 상황, 주자 3루, 투수 보크 → 자동으로 홈인 → 끝내기 승!

→ 실제 KBO·MLB에서 몇 차례 있었던 사례입니다.

 

 

 

 

 

마무리하며

보크는 투수에게만 적용되는, 그러나 야구의 공정성과 긴장감을 동시에 지키는 중요한 규칙입니다.

이제 야구 중계를 보다가

“어? 그냥 주자가 2루 갔네?”라는 장면이 나오면 이렇게 말해보세요.

“그건 보크야! 투수가 규칙 위반해서 주자가 자동 진루한 거야!”

감사합니다!

 

 

 

이 글은 KBO·MLB 공식 규정 기준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규칙 오류 방지를 위해 심판 교육자료 및 공식 룰북을 참고하였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