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슐랭과 미쉐린, 용어 정리부터 평가 등급, 빕 구르망, 맛집 찾기까지 특별한 가이드
슬기로운 상식

미슐랭과 미쉐린, 용어 정리부터 평가 등급, 빕 구르망, 맛집 찾기까지 특별한 가이드

슬기토끼 2025. 5. 14.
728x90

 "미슐랭 맛집"인가요, "미쉐린 셰프"인가요?

TV 예능에선 “미슐랭 1스타 맛집”, 유튜브에서는 “미쉐린 셰프” 요리를 소개합니다.

그런데… 잠깐! 도대체 ‘미슐랭’과 ‘미쉐린’은 뭐가 다를까요?

혹시 비슷한데도 어딘가 헷갈리셨다면, 오늘 이 글이 딱 정답입니다.

사실 둘은 같은 단어, 다른 발음일 뿐이에요. 그리고 이 이름 뒤엔 ‘타이어 회사가 만든 세계적인 맛집 평가 시스템’이라는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숨어 있습니다.

 

 

 

 

1. 미쉐린(Michelin)의 본모습: 타이어 회사가 맞습니다

Michelin은 1889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타이어 회사입니다.

창립자는 앙드레 미슐랭과 에두아르 미슐랭 형제.

자동차 산업이 막 시작되던 시기였죠.

프랑스식 발음은 ‘미슐랭’, 영어식은 ‘미쉐린’

  • [미슐랭]: 프랑스어 원발음
  • [미쉐린]: 영어권 발음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프랑스식인 ‘미슐랭’ 가이드로 표기했지만 2024년 한국지사에서 공식명칭을 미쉐린으로 정하였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미슐랭은 맛집, 미쉐린은 타이어로 인식이 되어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저도 익숙한 미슐랭으로 ㅎㅎ)

 

영어권 자료나 방송에서는 ‘미쉐린’이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어요.

 

 

 

 

 

2. 타이어 회사가 만든 ‘미슐랭 가이드’? 그 이유는?

1900년, 자동차 보급이 시작된 프랑스. 미슐랭 형제는 운전자들에게 여행 정보를 모아 무료로 나눠주는 가이드북을 만들었습니다.

 

주유소, 정비소, 도로 지도

숙소 정보와 음식점 추천

 

여기서 핵심 포인트는?

사람들이 여행을 많이 다닐수록 타이어가 빨리 닳는다는 점!

즉, 미슐랭 가이드는 단순한 친절이 아니라 마케팅 전략이었던 겁니다.

 

 

 

 

 

3. 별로 평가하는 ‘미슐랭 가이드’

1926년부터 가이드에 별점 평가가 도입됩니다.

1931년부터는 지금과 같은 1~3스타 체계가 정착되었죠.

미슐랭 스타, 무슨 의미일까?


★ 1개 : 훌륭한 식당입니다. 지나가다 들를 만한 가치가 있어요.

★★ 2개 : 요리 수준이 뛰어납니다. 일부러 찾아갈 가치가 있어요.


★★★ 3개 : 요리가 예술입니다. 이 식당을 위해 여행할 가치가 있어요.

 

별 개수는 단순한 맛의 차이가 아닙니다.

기술, 재료, 맛의 균형, 창의성, 일관성 등 전반적인 요리 완성도를 평가해 부여됩니다.

미슐랭 3스타 레스토랑 모수의 오너 쉐프 안성재(출처: 이코노미 조선, 채승우)

 

 

 

 

4. 미슐랭 스타는 아무나 받는 게 아니다! - 별을 받기 위한 다섯 가지 비밀 기준

미슐랭 가이드는 공식적으로 아래 5가지 항목을 기준 삼아 평가합니다

  • 재료의 품질 – 신선도, 희소성, 원산지 등
  • 요리 기술의 숙련도 – 조리 방식과 맛 구현
  • 요리의 개성 – 창의성, 셰프의 철학
  • 가격 대비 만족도 – 값어치를 넘어서는 만족감
  • 일관성 – 언제 방문해도 동일한 수준 유지

 

심사위원은 익명 평가자이며, 한 식당에 여러 차례 방문 후 협의를 거쳐 등급을 매긴다고 해요.

‘내돈내산’으로 방문한다는 점도 미슐랭의 신뢰 포인트입니다.

 

미슐랭 선정 북촌맛집 안암 국밥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클릭

 

[북촌 맛집] 미슐랭(미쉐린) 선정, ‘북촌 안암(ANAM)’ 국밥 한 그릇 여행기

“비 냄새에 한옥 지붕이 더 고즈넉해 보이던 날, 미슐랭이 찍고 간 국밥집에서 든든히 마음을 데워 왔습니다.” 1. 흐린 연휴, 북촌 골목으로근로자의 날(5월 1일).우산 위로 빗방울이 ‘톡톡’

edulog1004.tistory.com

 

 

 

 

 

5. 미슐랭의 숨겨진 보물, ‘빕 구르망’도 있다

‘별’이 아니어도 미슐랭 가이드는 또 하나의 보물을 품고 있어요.

바로 빕 구르망(Bib Gourmand)!

빕 구르망이란?
  • 합리적인 가격에 뛰어난 요리를 제공하는 식당
  • 각 지역의 ‘숨은 맛집’ 역할
  • 미슐랭 마스코트 ‘비벤덤’의 별명에서 따온 이름

 

즉, “비싸지 않아도 정말 맛있는 집”을 소개하는 가성비 미슐랭 리스트예요.

한국에서도 ‘막국수’, ‘국밥’, ‘비빔밥’ 같은 친근한 메뉴가 빕 구르망에 선정된 사례가 많습니다.

 

 

 

 

 

6. 미슐랭 가이드 맛집,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별을 받은 집, 빕 구르망 맛집… 도대체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공식적으로 확인하는 방법>

미슐랭 가이드 공식 웹사이트 접속

https://guide.michelin.com

-국가·도시 선택 → 카테고리 필터

-예: 대한민국 → 서울 → ★ 등급별, 가격대별 필터 가능

-‘빕 구르망’ 체크박스로 가성비 맛집도 찾을 수 있어요

-모바일 앱도 있어요 Michelin Guide 앱을 설치하면 GPS 기반으로 주변 미슐랭 맛집 확인 가능!

-사용자 리뷰, 메뉴 사진 등도 참고할 수 있어요.

 

 

 

미쉐린 가이드 - 공식 웹사이트

미쉐린 가이드 공식 웹사이트. 미쉐린 등급을 받은 전 세계의 레스토랑을 찾으세요 : 스타 레스토랑, 빕 구르망…

guide.michelin.com

 

 

 

 

 

7. 사람들이 자주 묻는 Q&A

Q1. 미슐랭과 미쉐린 맛집은 다른 건가요?

→ 아니요, 같은 곳을 다르게 부르는 것뿐이에요!

 

Q2. 미슐랭 맛집은 다 비싸요?

그렇지 않아요. ‘빕 구르망’ 리스트엔 착한 가격의 식당이 많습니다.

 

Q3. 별을 받는 식당은 어떻게 정해져요?

→ 익명의 평가단이 여러 차례 방문해 5가지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결정합니다.

 

 

 

 

 

8. 마무리: 이제는 이름보다 ‘기준’을 기억하세요!

‘미슐랭’이든 ‘미쉐린’이든, 본질은 같습니다.

믿을 수 있는 평가,

엄격한 기준,

그리고 진짜 맛집.

타이어 회사의 마케팅이 세계 최고 미식 가이드로 성장한 건 우연이 아닙니다.

이제는 이름보다도 ‘별 하나의 무게’를 기억하며, 맛있는 여행을 떠나보세요!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