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원소] 조용하지만 없어서는 안될 존재, 원소계의 철벽남(녀) 아르곤(Ar)에 대하여
슬기로운 교육

[화학 원소] 조용하지만 없어서는 안될 존재, 원소계의 철벽남(녀) 아르곤(Ar)에 대하여

슬기토끼 2025. 5. 7.
728x90

공기 0.93%의 정체를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슬기토끼입니다.

숨을 들이쉬어 보세요. 그 안엔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그리고 '아르곤(Argon)'이 있습니다.

공기 100mL 중 약 1mL 정도를 차지할 만큼 흔하지만, 색도, 냄새도, 맛도, 소리도 없는 탓에 우리는 거의 눈치채지 못했어요.

그런데 말입니다…

이 조용한 기체, 사실 와인 맛을 지켜주고, 전구 수명을 늘려주고, 고대 유물을 보호하는 박물관의 비밀병기이기도 해요!

오늘은 화려하진 않지만 누구보다 중요한 ‘투명한 수호자 아르곤’의 매력 속으로 함께 빠져보실래요?

 

 

 

 

1. 아르곤, 도대체 누구세요?

  • 이름: 아르곤 (Argon)
  • 기호: Ar
  • 원자번호: 18
  • 발견: 1894년, 레일리 & 렘지
  • 특징: 무색, 무취, 무반응
  • 별명: “원소계 철벽남” 또는 “게으른 기체

 

아르곤의 이름은 그리스어 argos(아르고스)에서 왔어요. 뜻은 ‘게으른’, ‘작동하지 않는’이에요.

너무 반응을 안 하니까 아예 이름부터 ‘귀찮은 사람’ 같은 느낌이죠. 하지만 이건 게으른 게 아니라, 자신이 너무 완벽해서 굳이 반응할 필요가 없는 거예요!

다른 원소들이 반응을 하고 싶어 몸부림쳐도 “난 지금도 완벽하니까, 딱히 반응 안 할래요~”라며 화학적 구애를 단칼에 거절하는 철벽남 중 철벽남, 철벽녀 중 철벽녀입니다.

 

 

 

 

 

2. 발견의 뒷이야기 - “상금 100파운드가 불러온 기적”

1892년, 영국 과학자 레일리는 공기에서 뽑은 질소가 실험실에서 만든 질소보다 0.5% 더 무겁다는 이상한 사실을 발견합니다. 그는 고민 끝에 1893년 네이처 과학 잡지에 이렇게 공고를 내요: "이 이유를 아는 분께 100파운드 드립니다!"

 

이때 등장한 또 다른 과학자, 윌리엄 렘지(W. Ramsay). 그는 혹시 공기 속에 우리가 모르는 무언가가 더 있지 않을까? 의심하게 되고, 몇 달에 걸친 실험 끝에, 질소보다 더 무겁고, 반응하지 않는 ‘새로운 기체’를 찾아냅니다.

 

초기 시료가 너무 적어 성질을 확정하기 어려웠기에, 두 사람은 충분한 증거를 모으느라 결과 발표를 1895년으로 미뤘습니다. 그래도 결과는 대성공! ‘질소보다 무거운 비활성 기체’라는 수수께끼를 풀어 상금은 예정대로 지급. 더 큰 보너스는 이후 노벨상 수상(레일리 노벨물리학상, 램지 노벨화학상 수상)이었습니다. 용돈으로 시작된 호기심이 인류 최초의 비활성 기체 발견으로 이어진 순간이었죠.

윌리엄 램지(1852-1916), 영국의 화학자(출처: 위키백과)
윌리엄 램지(1852-1916), 영국의 화학자(출처: 위키백과)

 

 

 

 

 

3. 반응 안 하는 이유? 완벽해서 그래요!

아르곤이 반응을 안 하는 이유는 딱 하나, 전자껍질이 꽉 차 있어서입니다.

원자는 중심의 핵 주위를 전자들이 도는 구조인데, 이 전자들은 ‘껍질’을 이루며 자리 잡아요. 아르곤은 가장 바깥껍질까지 전자가 꽉 차 있어서 다른 원소와 전자 주고받기 같은 걸 할 필요가 없는 거죠.

그러니까…

누가 다가와서 “같이 분자 만들자” 해도

“아니요 지금 혼자가 딱 좋아요” 그렇다 보니 산소도, 수소도, 염소도… 다 소용없습니다.

원소계의 철벽남, 철벽녀라 볼 수 있어요.

 

 

 

 

 

4. 아르곤은 어디서 일할까?

조용히 일하지만, 없으면 큰일 나는 아르곤의 활약을 소개할게요!

용접 현장
  • 용접할 때 불꽃이 3,000℃까지 올라가요.
  • 이때 금속이 산소랑 만나면 녹슬거나 터질 수도 있는데, 아르곤이 그 틈에 들어가서 산소를 차단해줘요.
    → ‘불꽃 방어막’ 역할!

전구 속
  • 전구 안 필라멘트가 산소랑 만나면 쉽게 타버려요.
  • 그래서 전구 속에 산소 대신 아르곤을 넣어요.
    → 전구 수명도 늘고, 밝기도 좋아져요!

와인 보존
  • 와인을 따면 공기랑 닿아 맛이 변하죠?
  • 산소를 밀어내고 병 안에 아르곤을 뿌려주면
    → 오래도록 신선한 맛 유지!

박물관 유물 보호
  • 고서, 금속 갑옷, 고대 회화는 산소나 습기만 닿아도 망가져요.
  • 그래서 박물관에서는 유리 케이스 안에 아르곤을 채우면
    → 산화도 곰팡이도 NO! 수백 년간 보존 가능!

이중창 단열
  • 우리 집 이중창 안에도 공기가 아닌 아르곤이 들어가 있어요.
  • 공기보다 열 전달이 느려서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해요!
    → 난방비 절약에 한몫!

아르곤은 박물관에서 유물을 보관할 때 사용된다.(출처: 픽사베이)
아르곤은 박물관에서 유물을 보관할 때 사용된다.(출처: 픽사베이)

 

 

 

 

 

5. 재미있는 TMI – 별, 번개, 레이저... 그리고 네온사인

  • 태양과 별 속 스펙트럼 분석을 하면 아르곤이 검출돼요!
  • 번개칠 때도 잠깐 생겼다가 사라지기도 하고요.
  • 아르곤 레이저는 안과 수술, 정밀 실험에 쓰이죠.
  • 네온사인에서도 쓰여요! 파란빛이 아르곤 때문이에요.

 

 

 

 

 

6. Q&A – 아르곤이 궁금해요!

Q. 아르곤은 몸에 해롭나요?

A. 아니에요! 독성도 없고, 몸에 특별한 해도 없어요. 다만, 산소 대신 너무 많이 마시면 질식 위험은 있죠.

 

Q. 집에서 아르곤 볼 수 있나요?

A. 옛날 백열전구, 고급 와인 스프레이, 단열 유리창 안에 숨어 있어요!

 

Q. 왜 네온 대신 아르곤을 쓰나요?

A. 네온은 비싸고 붉은색만 나지만, 아르곤은 저렴하고 파란색 연출도 가능해요!

 

Q. 화합물은 진짜 하나도 안 만들어요?

A. 극단적인 환경에서는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보고된 게 있어요. 하지만 실생활에선 거의 0%입니다!

 

 

 

 

 

7. 마무리 - “아르곤, 조용하지만 없어선 안 될 존재”

불꽃 옆에서 금속을 지키고, 유리 케이스 안에서 천 년 유물을 지키고, 창문 틈새로 우리 난방비를 지켜주는 아르곤. 한마디 말도, 한 줄 냄새도 없지만 ‘없으면 곤란한’ 세상의 숨은 공로자입니다. 다음에 전구를 갈거나 박물관 유리장 앞에 설 때, 혹은 단열 이중창을 만질 때 “아, 여기에도 철벽남녀 아르곤이 숨 쉬고 있겠구나!”를 떠올려 보세요. 그리고 속으로 이렇게 외쳐주세요.

“고마워, 아르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화학 원소]맑은 수돗물을 만든 슈퍼히어로, 원자번호 17번 염소(CI)의 특별한 이야기

수영장 냄새의 주인공,염소 수영장 문을 열자마자 “훅” 하고 코를 찌르는 그 냄새, 많이 맡아 보셨죠?냄새의 정체는 수영장 물속 염소가 땀·소변·화장품에 들어 있는 질소 화합물과 만나면서

edulog1004.tistory.com

 

 

 

[화학 원소] 썩은 취두부, 유황오리 속 주인공, 황(S)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

“썩은 취두부 냄새? 그건 순수한 내가 아니에요!”중국 야시장을 다니다 보면 저 멀리서부터 코를 확 사로잡는 음식이 있습니다. 바로 중국에서 사랑받는 취두부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냄새

edulog1004.tistory.com

 

 

 

[화학 원소] 오줌에서 태어난 불꽃? 도깨비불, 현자의 돌의 주인공, ‘인’의 미스터리한 여행(원

인(P) - 불꽃·밥·스마트폰을 잇는 다리 안녕하세요. 슬기토끼입니다. 한밤하늘을 수놓는 불꽃놀이의 눈부신 꼬리, 밥상 위 따끈한 쌀밥 한 톨, 손끝에서 반짝이는 스마트폰 화면 전혀 어울리지

edulog1004.tistory.com

 

 

 

[화학 원소]모래 한 줌이 바꾼 세상! 반도체 시대, 규소가 일으킨 작은 기적(유리, 실리콘벨리,

모래 한 줌이 바꾼 세상 안녕하세요. 슬기토끼입니다.바닷가에서 발밑에 느껴지는 모래알들을 가만히 들여다본 적이 있나요? 수많은 모래가 사실은 첨단 과학과 IT 산업의 핵심이라고 하면 조

edulog1004.tistory.com

 

 

 

[화학 원소]금보단 비쌌던 황제 알루미늄, 어떻게 일상의 주인공이 되었을까? (원자번호 13번 알

안녕하세요. 슬기토끼입니다.혹시 금보다 비싸게 팔리던 금속이 있었다고 하면, 믿어지시나요? 게다가 지금은 우리가 일상 속에서 너무 흔하게 사용하는 물건이라면요. 가볍고 반짝이는 재주꾼

edulog1004.tistory.com

 

728x90

댓글